티스토리 뷰
국내 한 달 살기 지원금은 일부 지자체에서 지역 관광 활성화와 인구 유입을 위해 제공하는 제도인데 숙박비와 체험 프로그램 비용 등을 지원한다. 주로 농촌·어촌 체험, 로컬 문화 탐방, 관광지 체류를 포함하며 귀농·귀촌 희망자나 디지털 노마드 등 다양한 대상에게 혜택을 제공한다. 강원도, 전남, 경남, 제주 등의 지자체에서 운영하며, 모집 시기와 지원 조건은 지역별로 다르다. 체류 중 지역 특산물 체험, 자연 탐방, 원격 근무 환경 제공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어 여유로운 생활과 지역 문화를 경험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다.
전라남도 여수시 – 여수 한 달 살기 프로젝트
여수시는 관광 활성화와 지역 체험을 목적으로 한 달 살기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. 이 프로그램은 여수를 한 달 동안 체류하며 지역 문화를 경험하고 여수의 자연과 관광지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. 참가자에게 숙박비 일부를 지원하며 갯벌 체험, 지역 특산물 체험, 어촌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.
(문의 : 여수시 관광과 061-659-3964)
전라남도 고흥군 – 고흥 한 달 살기
고흥군은 귀농·귀촌 희망자나 농촌 체험을 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. 이 프로그램은 숙박비를 지원하며 고흥의 농촌 및 어촌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특산물 수확, 어촌 마을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제공한다. 특히, 고흥은 한적하고 평화로운 전원생활을 경험하기 좋은 곳으로 귀촌 희망자들에게 인기가 많다.
(문의 : 고흥군 귀농귀촌지원센터 061-830-5493)
경상남도 남해군 – 남해에서 한 달 살기
남해군은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통해 남해의 아름다운 풍경과 로컬 문화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. 참가자에게는 숙박비의 최대 70%를 지원하며 남해의 청정 자연을 활용한 해변 액티비티, 농촌 체험, 특산물 요리 체험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. 남해의 한적한 분위기와 따뜻한 지역민들의 환대가 큰 매력이다.
(문의 : 남해군 관광진흥과 055-860-8601)
강원도 강릉시 – 강릉 한 달 살기
강릉시는 동해안의 아름다운 자연과 도시의 문화적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. 숙박비와 체험 프로그램 비용 일부를 지원하며 강릉 커피거리, 오죽헌, 경포대 등 강릉의 주요 관광지를 여행할 수 있다. 또한, 예술·공예 활동 및 지역 먹거리 체험 등 강릉의 로컬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.
(문의 : 강릉시 문화관광과 033-640-5119)
강원도 춘천시 – 디지털 노마드 한 달 살기
춘천시는 디지털 노마드와 창작 활동을 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. 숙소와 함께 코워킹 스페이스를 제공하며 춘천의 자연과 문화적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. 북한강 주변에서 즐기는 액티비티와 춘천의 카페 문화가 큰 장점이다.
(문의 : 춘천시 관광과 033-250-4312)
제주특별자치도 – 제주 한 달 살기 프로그램
제주도는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 달 살기 지역으로 제주 로컬 문화를 체험하고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. 숙박비 일부를 지원하며 제주 올레길 걷기, 농촌·어촌 체험, 제주 전통 음식 만들기 등 다양한 로컬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.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독특한 문화가 큰 매력이다.
(문의 : 제주특별자치도 관광협회 064-740-6000)
전라북도 완주군 – 완주 로컬 한 달 살기
완주군은 농촌 체험과 한옥 생활을 경험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완주 로컬 한 달 살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. 숙박비와 체험 프로그램 비용 일부를 지원하며 전통 공예, 농산물 수확, 한옥 문화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완주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. 한적한 농촌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싶은 분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이다.
(문의 : 완주군 관광과 063-290-2615)
※ 유의사항
▷ 지원 대상 : 일부 지역은 타 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며, 연령대나 직업군(예: 청년, 디지털 노마드 등)에 따라 제한이 있을 수 있다.
▷ 신청 방법 :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공고를 확인하고 신청서를 작성해야 한다.
▷ 모집 시기 : 프로그램마다 상이하므로 정기적으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.
위의 정보를 통해 관심 있는 지역의 프로그램에 대해 더 알아보고, 신청 전에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.